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쇼펜하우어 명언

Mindset

by Reading a Brand 2025. 4. 9. 21:09

본문

728x90

돈은 인간의 행복을 보장해주진 않지만,
불행을 막아주는 강력한 방패다.
-쇼펜하우어-


쇼펜하우어는 독일 연방의 철학자이다.


쇼펜하우어는 자신이 칸트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였으며 칸트의 사상을 올바르게 이어받았다고 확신했다. 또한 당대의 인기 학자였던 헤겔, 피히테, 셸링 등을 칸트의 사상을 왜곡하여 사이비 이론을 펼친다며 강력히 비판했다. 쇼펜하우어가 박사 학위 논문으로 쓴 《충족 이유율의 네 겹의 뿌리에 관하여》는 철학(인식론)의 고전이 되었다. 20대의 젊은 나이 때부터 수년간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를 쓰기 시작하여 1818년에 출간하였다. 대학 강의에서 헤겔과 충돌한 후 대학교수들의 파벌을 경멸하여 아무런 단체에도 얽매이지 않고 대학교 밖에서 줄곧 독자 연구 활동을 지속하였다. 이후 자신의 철학이 자연 과학의 증명과도 맞닿아 있음을 《자연에서의 의지에 관하여》라는 책에서 주장했다. 그 뒤에 윤리학에 대한 두 논문을 묶어 출판하였다.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가 출판된 지 26년이 지난 1844년에 개정판을 출간하였다.

이후 《소품과 부록》라는 인생 전반에 관한 수필이 담긴 책을 출간했고 이 책은 쇼펜하우어를 유명 인사로 만들었다.


쇼펜하우어의 서적들은 주장이 굉장히 명쾌하다. 동시대 인기 철학자인 헤겔과 비교했을 때 헤겔은 현학적인 문장으로 읽는 사람을 난해하게 하는 반면 쇼펜하우어의 문장은 명료하고 지시성이 있다. 그의 저서에서 언어 철학적 입장이 잘 드러나는 이유이기도 하다.

쇼펜하우어는 1820년대에 동양학자 프리드리히 마이어를 통해 힌두교와 불교에 관해 알게 되었다. 이 종교들의 핵심 교리 속에 자신과 칸트가 도달한 결론과 같은 것이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먼 과거의 동양 사상가들이 서양과는 전혀 다른 환경, 언어, 문화 속에서 근대적인 서양 철학의 과제에 대해서 같은 결론을 말한다고 생각했다. 이 발견을 쇼펜하우어는 글로 써서 남겼고 서양에서 최초로 동양 철학의 세련된 점을 독자들에게 알려주었다. 쇼펜하우어는 서양 철학과 동양 철학 간의 유사성을 말한 철학자이자 자신이 무신론자임을 표명한 독창적인 철학자로 손꼽힌다. 19세기 말에 유행하여 수많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쇼펜하우어 명언 모음

#1
Ordinary people merely think how they shall 'spend' their time; a man of talent tries to 'use' it.
평범한 사람들은 단지 시간을 '보낼' 방법을 생각하지만, 재능 있는 사람은 시간을 '활용할' 방법을 생각 한다.

#2
It is difficult to find happiness within oneself,
but it is impossible to find it anywhere else.
자신 안에서 행복을 찾는 것은 어렵지만,
다른 곳에서 행복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3
Every man takes the limits of his own field of vision for the limits of the world.
누구나 자신의 시야의 한계를 세상의 한계라고 생각한다.

#4
The first forty years of life give us the text;
the next thirty supply the commentary on it.
인생의 첫 40년은 우리에게 본문을 주고,
다음 30년은 그에 대한 주석을 부여해 준다.

#5
Wealth is like sea-water; the more we drink,
the thirstier we become; and the same is true of tame.
부는 바닷물과 같다; 마실수록 갈증이 난다.
명성도 마찬가지이다.

#6
The greatest of follies is to sacrifice health for any other kind of happiness.
가장 어리석은 것은 다른 종류의 행복을 위해
건강을 희생하는 것이다.

#7
We seldom think of what we have,
but always of what we lack.
우리는 자신이 갖춘 건 좀처럼 생각하지 못하고
늘 자신이 부족한 것만 생각한다.

#8
Just remember, once you're over the hill
you begin to pick up speed.
일단 언덕을 넘으면
속도가 붙기 시작한다는 것을 기억하라.

#9
Marrying means to halve one's rights and double one's duties.
결혼을 한다는 것은 자신의 권리를 절반으로 줄이고 의무를 두 배로 늘리는 것이다.

#10
The safest way of not being very miserable is not to expect to be very happy.
매우 불행해지지 않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너무 많은 행복을 기대하지 않는 것이다.

#11
Almost all of our sorrows spring out of our relations with other people.
거의 모든 슬픔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비롯된다.

#12
Life swings like a pendulum backward and forward between pain and boredom.
인생은 고통과 지루함 사이를 왔다갔다하는 시계 추와도 같다.

#13
Faith is like love: it does not let itself be forced.
신념은 사랑과 같다. 강요될 수 없다.

#14
Mostly it is loss which teaches us about the worth of things.
대부분의 경우 잃어버림으로써 가치를 배우게 된다.

#15
Reading is thinking with someone else's head instead of one's own.
독서는 자신의 머리 대신
누군가의 머리로 생각하는 것이다.

반응형

'Minds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크트웨인 명언  (26) 2025.04.11
100달러지폐 도안 벤자민 프랭클린 명언  (14) 2025.04.10
헨리포드 명언  (28) 2025.04.08
워렌버핏 명언  (10) 2025.04.08
어린왕자 생텍쥐페리 명언  (14) 2025.04.07

관련글 더보기